Sujeonggwa is made with three bold ingredients—cinnamon, ginger, and sugar.
If someone says, “There’s an event tomorrow, so I’ll just make sujeonggwa today,”
they simply don’t understand how sujeonggwa works.
These ingredients need time to harmonize,
to truly get along with one another.
That’s what we call “aging” or “maturation.”
People often say,
“How can it taste this sweet when it’s not overpoweringly sugary?”
That’s because the sweetness doesn’t come from sugar alone—
it comes from the chemistry, the compatibility of the ingredients.
The flavors have been given time to agree, to blend, to become one.
Located next to the historic Choi family estate in Gyeongju, Surime is a cultural spac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the authentic traditions of royal Joseon cuisine.
Master Park Mi-sook—who was trained by Hwang Hye-seong, a recogniz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lder in royal Korean cuisine—personally oversees the fermentation of all essential condiments. Over a hundred traditional earthenware jars (jangdokdae) are used to expertly ferment Korean soy sauce, doenjang (soybean paste), and other foundational elements of Korean cuisine.
이 영상은 전통 한국 후식 음료인 수정과를 예로 들어,
재료 간의 숙성과 발효의 원리를 설명하는 박미숙 관장의 모습을 담은 쇼츠입니다.
수정과는 계피, 생강, 설탕이라는 세 가지 강한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내일 행사가 있으니 오늘 수정과를 만들어야지”라고 말하는 사람은
수정과의 본질을 모르는 것입니다.
이 재료들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진정으로 어울리기 위해 시간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숙성’이라고 부릅니다.
사람들은 종종 말합니다.
“어떻게 이렇게 단데, 설탕맛이 과하지 않죠?”
그 이유는 단맛이 설탕만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재료 간의 궁합, 화학작용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맛들이 서로 조율되고, 어우러지고, 하나가 되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경주 최부잣집 종택 옆에 자리한 ‘수리뫼’는
조선 왕조의 궁중음식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통문화공간입니다.
조선 궁중음식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황혜성 선생에게 사사받은
박미숙 명장이 이곳을 운영하며, 한국 요리의 핵심인 간장, 된장 등 모든 장을
100여 개가 넘는 전통 장독대에서 직접 정성껏 숙성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